인생(人生)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
[인생(人生)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
시인(詩人) ‘김달진’(1907~1989)은 어느 글에선가 쓰기를, 인생 60代는 해마다 늙고, 인생 70代는 달마다 늙고,
인생 80代는 날마다 늙고, 인생 90代는 시간마다 늙고, 인간 100歲는 분마다 늙는다고 했다.
인생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고 하며, 숙명적으로 “생, 노. 병. 사”의 정 코스를 달려가는 우리 인생.
예순쯤에는 해마다 주름 하나씩 늘면서 어딘가 노쇠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의미를 내포한 말이려니,
따라서 1년에 한 번이라도 건강을 체크해보면서 건강과 체력유지에 힘써야 한다는 말일 것이다.
우리나라 남성들의 평균수명이 74.4세라는데..
우리인생! 일흔쯤에는 달마다 신체기능에 이상이오고 어딘가 치명적인 아픔이 꼭 온다는 말이다.
섭생(攝生: 병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관리를 잘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과 운동에 힘써서
70청춘을 구가(謳歌: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하는 사람도 많지만,
대부분 자신을 잃고 막연한 불안과 외로움 속에 하루하루 무의미한 세월 죽이기로 허송하고 있다.
늙어서 서러운 인생! 여든 줄에는 건네는 인사도 "밤새 안녕 하십니까?"로 변하고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아흔 줄에는 시간마다 대소변, 병 수발에 간병인이 있어야 하니,
그 삶이 결코 축복일 수 없고 기쁨일수 없는데 하물며 백세향수를 바란데서야 어찌 욕심이라 않겠는가?
인터넷 어느 글에서 9988 23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 이틀 앓고 3일째 죽는 것이 행복한 인생이란 뜻)이란
실버(silver)들의 바람을 혹평한 글을 읽고 가슴이 아팠다.
“병(病)을 얻어 아파 누워서도 오래살기만 바란다면 자식들에게 큰 짐이 되고 부담이 됨을 알아야 하는데..
매일 술이나 마시면서 건강유지에는 힘쓰지 않고서야 어느 효자가 모시려 하겠느냐?“는 내용이었다.
스스로 병들고 누워서 지내는 100歲는 죄악이다. 최소한 활동에 지장 없는 건강이어야 축복이 된다.
가족이나 간병인의 힘을 빌리는 의존생명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고 가족의 바람도 그럴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우리 모두 건강유지에 힘써 병들지 않고 9988 234할 수 있도록,
축복받는 장수가 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노력에 힘쓰자.
[노인(老人) 10계명(誡命)]
01. 자식(子息)에게 올인 하지 말라.
02. 며느리 잘 모셔야 집안이 화목(和睦)하다.
03. 돈은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한다.
04. 돈보다 먼저 건강(健康)이다.
05. 젊게 살려면 젊은이를 따라 하라.
06. 미워도 내 사람이 제일이다.
07. 뒤돌아보지 말고, 남은 날들을 즐겁게 보내라.
08. 작은 것을 크게 기뻐하라.
09. 오늘 하루가 감사(感謝)하면 일생(一生)이 감사하다.
10. 자기(自己)가 믿는 종교(宗敎)와 잘 거래(去來) 하라. 얻는 것이 많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