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와 하수의 차이
高水와 下手의 差異 臨界點의 克服~
예전에 "朴正熙大統領"이 "昭陽江댐"을 건설하려고국내 대표건설사 4곳을
불렀답니다. 각 건설사는 어떻게 하면 수주를 받을 건지 고민할 때 한 개의 건설사는 서
울지도를 펼쳐놓고 상습침수구역 중 "소양강댐이 건설되면" "침수되지 않을 지역"을 찾
아 그곳의 땅을 싸게 샀습니다. 어느 누구도 "상습침수구역"이라 거들떠 보지도 않는 땅
이었으니 건설사를 투기꾼이라 비난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땅이 바로 지금의 "강남구 압
구정"입니다. 지금도 압구정에 는 H건설사 땅이 많이 있고 백화점도 있습니다. 남들이 댐
공사로 돈을 벌려고 치열하게 경쟁할 때 한 단계 더 멀리 본다는것, 이것이 "임계점을 극
복하고" "성공하는 비결"입니다.
어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얼음이 녹으면 뭐가 되는지' 물었더니 대부분이 물이 된다 했
는데 한 학생이 대답하길 봄이 온다고 했습니다. 얼마나 멋지고 감탄스럽고 획기적인 아이
디어 입니까? 우리는 남들보다 한 단계, 한걸음 더 멀리 보아야 합니다. 여러분은 뭐 라고
대답 했을까요? 저도 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과학시간에 그렇게 배운 사고의 틀을 깨지
못 한 것입니다. "임계점"이 뭔지 생소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물이 끓는 온도가 100도인
데 99도까지는 물의 성질이 변하지 않죠. 마지막 1도 이게 있어야 물이 끓고 성질이 변하죠.
고수와 하수의 차이는 1도 마지막 남은 1도의 차이라고 합니다. 많은 수치도 아닌 1도의 차
이가 고수와 하수의 차이라는데 고수와 하수의 격차는 암청 납니다. 금전적으로나 모든 면에
서 마지막 남은 고지를 눈앞에 두고 포기하느냐 정복하느냐 입니다. 쉬운 예가 건강이고 다이
어트죠. 조금만 더 운동하고 노력하면 될 거 같은데 1도가 늘 부족합니다. 어제도 부족했고 내
일도 부족할 겁니다. 왜냐 하면 우리는 하수이니까. 지금 이 글을 읽는 순간부터는 당신은 임
계점을 극복한 고수입니다. 다이어트든 공부든 승진이든 모든 분야에서 마지막 남은 1도를 극
복하시고 기존의 틀을 깨는 사고방식으로 고수가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