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게실/꽃.식물

정겨운 꽃ㅡ목화/닥풀/메밀꽃

by 가마실 2024. 7. 25.

정겨운 꽃ㅡ목화/닥풀/메밀꽃

(도심근린공원에서ㅡ모모수계)

목화꽃

목화씨방

닥풀

메밀

목화( 木花)

아욱목 아욱과 한해살이풀. 면화 또는 미영, 미면이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열대지방이다.

보통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관목으로 재배되지만, 열대지역에서는 다년생 교목으로 자란다.

식물체는 흰색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불그스레한 색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작물 중의 하나인 목화는 비교적 값싼 면제품을 만들며,

생산량이 매우 많고 경제적인 직물이다. 한국에는 고려시대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씨앗을 숨겨온 다음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말 : 어머니의 사랑

 

닥풀( 황추규)

황촉규·당황·촉규·촉귀라고도 한다. 닥풀이라는 이름은

닥나무로 한지를 만들 때 이 식물을 풀감으로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8~9월에 엷은 황색의 오판화가 피는데 오목하게 들어간 가운데

부분은 검은 자주색이며 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어 달린다.

잎을 황촉규엽, 꽃을 황촉규화, 씨를 황촉규자라고 한다.

관상용·섬유재·제지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는 약 16%의 점액질을 지니고 있어 종이를 뜨는 데 중요한 풀감이 된다.

특히 얇은 종이를 뜰 때 이 닥풀을 사용하면 쉽게 얇고도 균일한 종이를 뜰 수 있다.

뿌리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황촉규근이라 하여 점활제(粘滑劑)로 쓰고 약재로도 쓴다.

씨는 지방유를 함유하고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호흡기를 다스리며, 신경(腎經)에 효험이 있다.

꽃말 : 유혹

 

메밀

메밀은 동아시아의 북부 및 중앙아시아, 바이칼호, 만주,

아무르강변 등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지에 서식하고 있다.

메밀에는 여름메밀과 가을메밀이 있는데, 여름 메밀은 7~8월에 수확하며,

가을 메밀은 10월경에 수확한다. 어린 메밀잎은 반찬으로 먹고,

성숙한 잎과 꽃은 약재로 사용된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등을 함유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 등의

혈관손상을 예방하는 루틴(Rutin)의 함량이 높다. 국수, 냉면, 묵, 만두, 전병 등

식재료로 사용되며 혈관 등 순환기 계통의 기능을 높이는 약재로 활용된다.

꽃말 : 연인, 사랑의 약속

 

'☞휴게실 > 꽃.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양귀비  (0) 2024.07.26
수생식물ㅡ부레옥잠 물양귀비 외  (0) 2024.07.26
바위말발도리  (0) 2024.07.25
매화말발도리  (0) 2024.07.25
빈도리  (0) 202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