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반사476 법상스님「 다라니 수행 」中에서 법상스님「 다라니 수행 」中에서 시주도 진심따라 강원에서 수행을 아주 열심히 하는 스님이 한 분 계셨습니다. 경전 공부만 열심히 하니까 눈이 아파서 하루는 숲속 한 편에 자리를 잡고 고요히 참선을 하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주변이 시끌시끌해서 살펴보니, 관광버스를 이용해서 단체로 사찰 순례를 하고 있는 보살님들이 우르르 몰려오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 스님 앞을 맨 처음 지나가던 보살님이 숲속 한 편에서 고요히 선정에 든 스님의 모습에 감동하여 천원짜리 한 장을 스님 앞에 시주를 하고 가더랍니다. 그러자 뒤에 따라 오던 분들도 줄을 서서 돈을 놓고 갑니다. 어느 한 보살님은 돈이 바람에 날리지 말라고 깨끗한 돌을 주어 와서 돈을 눌러 놓고 가더랍니다. 다음 차에서 내린 보살들도 따라서 돈을 놓고 가는데 .. 2025. 4. 11. 마음의 주인이 되라 마음의 주인이 되라~~♡바닷가의 조약돌을 그토록 둥글고, 예쁘게 만드는 것은 무쇠로 된 정이 아니라, 부드럽게 쓰다듬는 물결이다.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뜻이다.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것은 무소유의 또 다른 의미이다.용서란 타인에게 베푸는 자비심이라기보다 흐트러지려는 나를 나 자신이 거두어들이는 일이 아닐까 싶다.우리들이 화를 내고 속상해 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부의 자극에서라기보다 마음을 걷잡을 수 없는 데에 그 까닭이 있을 것이다.정말 우리 마음이란 미묘하기 짝이 없다. 너그러울 때는 온 세상을 다 받아들이다가 한 번 옹졸해지면 바늘 하나 꽂을 여유조차 없다.그러한 마음을 돌이키기란 .. 2025. 4. 2. 홍계관과 아차고개 홍계관과 아차고개 조선 제 13대 명종 시절 홍계관이란 점쟁이가 있었는데, 그의 점궤는 한 번도 빗나간 적이 없다고 하여 신점으로 불리었다. 홍계관의 집은 조선 팔도에서 몰려드는 사람들로 붐볐는데 그중엔 신분을 감추고 몰래 찾아오는 관리나 조정의 대신들도 있었다. 어느 날 점을 보겠다며 찾아온 장정들이 그를 에워싸더니, 목에 칼을 들이대고 조용히 뒷문으로 나갑시다.하였고 뒤뜰에 대기해 둔 가마에 홍계관을 태운 괴한들은 빠른 속도로 이동한 얼마 후 궁궐을 방불케 하는 대저택의 소슬 대문안으로 들어선 괴한들은 호화로운 가구들과 장식품들로 둘러싸인 방으로 안내를 하였다."자넨 내가 누군지 짐작하고 있을 터이지?"병풍 앞에 앉은 중년의 여인이 요염한 미소를 흘리며 홍계관을 내려다보았다."나는 새도 떨어뜨린다.. 2024. 11. 27. 하라 미키에 (Mikie Hara 原幹恵) - 121 하라 미키에 (Mikie Hara 原幹恵) - 121 2024. 10. 26. 이전 1 2 3 4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