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이초시네 집이 발칵 뒤집혀졌다. 조상 대대로 가보로 내려오는 비취함이 없어진 것이다. 안방 장롱을 샅샅이 찾아도, 사랑방 다락을 바늘 찾듯 뒤져도 비취함은 나오지 않았다.
“재작년에 장롱에 두기 불안하다며 당신이 은쟁반과 함께 사랑방으로 가져간 것 같은데….” 넋이 나간 이초시에게 안방마님이 고개를 갸웃거리며 역정을 냈다. 천석꾼 부자 이초시 집에는 집사·행랑아범·침모·찬모·머슴 등 하인이 아홉명이나 되지만, 그중 먼저 의심을 받은 사람은 집사인 칠석이다. 하인 중 집 열쇠를 모두 갖고 있는 사람은 칠석이뿐이고, 더구나 칠석의 처는 안방 장롱을 마음대로 열 수 있는 침모 삼월이다. 모두가 칠석이를 수상히 여기자 칠석의 표정이 굳어졌다.
그러나 이초시는 비취함이 없어진 게 칠석이 짓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22년 전 칠월 칠석날 새벽, 아기 울음소리에 대문을 열자 강보에 쌓인 핏덩어리가 울고 있었다. 이초시는 아이의 이름을 칠석이라 짓고 동네 젖동냥을 받아 키웠다. 칠석이 다섯살이 되어 서당에 보냈더니 글재주는 일취월장하고 사람 됨됨이는 점잖고 의젓해졌다. 칠석이 열다섯이 되자 이초시는 집 안팎 일을 그에게 맡겼다.
어린 나이에 이초시네 집사가 된 칠석은 한치도 어긋남이 없이 일을 반듯하게 처리했다. 지난해 이초시는 칠석이를 바느질 솜씨 좋고 마음씨 고운 침모 삼월이와 혼례 올려 주고 별채에 신방을 차려 줬다.
“칠석이가 비취함을 훔칠 리가 없지. 그럼.”
이초시의 칠석에 대한 믿음은 변하지 않았다. 그런데 안방마님이 점(占)집을 다녀오더니 하인들을 데리고 칠석이와 삼월이가 살고 있는 별채 방 안을 뒤지기 시작했다. 삼월이는 울고, 칠석이는 침통한 표정으로 한숨만 토했다.
“집 안에 감춰 둘 리가 없지.”
“벌써 집 밖으로 빼돌렸을 거야.”
입 달린 사람들은 모두 한마디씩 수군거렸다. 이튿날, 이초시 모르게 칠석이는 관가에 끌려갔다가 볼기짝이 피투성이가 되어 돌아왔다. 며칠 후 칠석이와 삼월이는 이초시 집을 나가 어디론가 사라졌다.
그로부터 닷새 후, 이초시의 어린 손자 방에서 비취함이 나왔다. 가보인 줄도 모르고 엽전·구슬·제기와 함께 책상 서랍에 넣어 두었던 것이다. 이초시는 하인들을 불러 고함쳤다.
“칠석이를 찾아오렷다. 칠석이를!”
하인들이 동서남북으로 찾아다녀도 칠석이와 삼월이를 찾을 수 없었다.
봄이 가고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오도록 이초시는 말없이 술만 마시더니 섣달이 되자 드러눕고 말았다. 용하다는 의원들이 다녀갔지만 차도가 없었다. 소작농들에게 후하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줘 모두가 우러러보던 이초시가 드러눕자 온 동네 분위기가 가라앉았다.
사락사락 눈이 하염없이 쏟아지는 섣달그믐날 밤. 동네도, 이초시네 집도 칠흑 속에 파묻혔다. 예년 같으면 이초시네 드넓은 안마당에 동네 사람들이 모여 횃불을 켜 놓고 남정네들은 소와 돼지를 잡고 여인네들은 떡국 썰고 만두를 빚고 부침개를 부쳤을 밤이었다. 설날이 되면 이초시네 안마당은 도야, 개야, 걸이야, 윷놀이 함성으로 동네가 떠나갈 듯할 터인데 올해는 모든 게 적막강산이다.
그토록 내리던 눈이 언제 왔느냐는 듯 갠 하늘에 아침 해가 떠오르고 설날이 밝았다. 개들조차 처박혀 있는지 조용한 동네에 뽀드득뽀드득 눈을 밟는 걸음 소리가 이초시 집으로 이어진다.
“초시 어른, 칠석이 세배 왔습니다.”
그 소리에 사랑방 문이 활짝 열리고 이초시의 두눈 가득 눈물이 고였다. 이초시는 아무 말도 못하고 눈물만 흘리며 칠석이와 삼월이의 세배를 받았다.
“어디서 무얼 하고 살았느냐?”
“강원도 정선으로 들어가 약초꾼이 됐습니다. 얼마 전 운 좋게 100년근 산삼을 일곱뿌리나 캐 초시 어른 드리려고 싸 왔습니다.”
이초시는 사랑방 문을 열고 목소리도 우렁차게, “여봐라, 동네 사람들 모두 부르지 않고 뭣 하느냐. 소·돼지 잡고 윷판을 벌리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