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철쭉(흰등대꽃)
흰꽃이 피는 것은 단풍철쭉이라 부르고 붉은 꽃이 피는 것은 방울철쭉이라 부르고 있네요.
단풍철쭉(흰등대꽃, Enkianthus perulatus),
방울철쭉(등대꽃 : 붉은색, E. campanulatus)으로 불리고 있는 듯해요.
붉은 꽃의 변이종이 여럿이 있는 듯 소개 되고 있어요.
방울철쭉(노랑등대꽃)은 학명이 개별로 나오질 않고 그냥 변이종으로 분류하는듯 합니다.
단풍철쭉(흰등대꽃)은 방울철쭉 보다 조금 일찍 피고 지는 듯하더군요.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활엽관목.
분포 : 일본 원산지 (학명 : Enkianthus perulatus)
서식 : 관상용 식재 (크기 : 높이 2~5 m정도)
단풍철쭉(흰등대꽃)은 낙엽활엽관목으로 일본이 원산지이다.
영명은 dodan tsutsuii, white enkianthus이다. 높이는 2~5m 정도로 자란다.
단풍철쭉, 등대철쭉, 흰등대꽃, 도단철쭉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줄기는 매끈하고 적갈색이 돌고 가지가 3~4 개씩 돌려나며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가지 끝에서 어긋나고 뭉쳐나거나 돌려난 것처럼 보이며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다.
잎 길이는 3∼7cm, 나비 1.5∼3.5cm로 양끝이 좁고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적갈색으로 짧고 가지끝에 모여달린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방울 모양으로 가지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밑으로 처지며 5∼1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종 모양이고 길이 10∼15mm이며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에 2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대가 굽어 위를 향한다.
꽃과 가을의 심홍색으로 단풍 든 잎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일본 원산이며 노지월동이 가능하여 화단, 공원에 심어 재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