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체꽃
분류 :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 한국·중국 (학명 :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서식 : 심산지역 (크기 : 높이 50∼90cm)
솔체꽃은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 서서 높이 50∼90cm까지 자라고 가지는 마주나기로 갈라지며 퍼진 털과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바소꼴로 깊게 패어진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며 꽃이 필 때 사라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 타원형이며 깊게 패어진 큰 톱니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8월에 하늘색으로 피며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바깥 총포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꽃이 필 때는 길이 5mm 정도이다.
가장자리의 꽃은 5개로 갈라지는데, 바깥갈래조각이 가장 크고, 중앙에 달린 꽃은 통상화(筒狀花)이며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서 줄 모양이고 10월에 익는다. 한국·중국에 분포한다.
잎에 털이 없는 것을 민둥체꽃(var. zuikoensis), 잎이 깃처럼 갈라진 것을 체꽃(for. pinnata),
꽃이 필 때까지 뿌리에서 나온 잎이 남아 있고 꽃받침의 자침(刺針)이 다소 긴 것을 구름체꽃(for. alpina)이라 한다.
솔체꽃
솔체꽃은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며 내한성이 좋아 비교적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그래서인지 낮은 지역보다는 고산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하늘빛과 연보랏빛이 느껴지는 파스텔톤의 꽃 빛깔이 신비롭게만 보인다. 솔체꽃이라고 하는 것은 꽃봉오리의 모양이 구멍 뚫린 체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키는 50∼90cm 정도 자라고, 가지는 마주나기로 갈라지며,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바소꼴로 깊게 패진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며 꽃이 필 때 사라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마주 달리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8~11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바깥 총포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꽃이 필 때는 길이 5mm 정도이다. 가장자리의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중앙에 달린 꽃은 통상화(筒狀花)이며 4개로 갈라진다.
'산골 소년을 사랑한 요정이 상처 입은 소년을 치료해 주었고, 건강을 되찾은 소년은 요정의 사랑을 알지 못한 채 마을의 다른 사람과 결혼하게 되자, 슬픔이 깊어 죽어간 요정이 있던 자리에 피어난 꽃'이 솔체꽃이라고 한다. 그래서 꽃말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 한다.
늦여름부터 가을의 화단에 잘 어울리는 꽃이지만 키가 크고 흡수(吸水)가 잘되므로 절화용으로 알맞고 절화의 수명도 길다. 솔체꽃은 추위에 강한 것은 물론 여름철 더위에도 강하지만 고온 다습한 것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토질은 가리지 않지만 물이 잘 빠지는 모래참흙이나 참흙으로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솔채꽃은 그 자태가 아름다워 가정에서 관상용으로도 재배하며 식용과 약용으로도 가능하다. 부드러운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고, 약으로 쓸 때는 두통과 탈수증 그리고 간열성 발열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