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시괴불나무
분류 : 쌍떡잎식물 산토끼꽃목 인동과의 낙엽 관목.
분포 : 중부 이북(경기·강원·평남·함남·함북),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학명 : Lonicera chrysantha)
서식 : 산기슭 (크기 : 높이 3~4m)
각시괴불나무는 금화인동(金花忍冬), 황화인동(黃花忍冬)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나무 숲에서 자란다. 높이는 3~4m이다.
줄기 속은 갈색이며 가운데가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밑부분이 좁고 뾰족하다.
잎의 끝은 날카롭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뒷면 맥을 중심으로 양쪽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자루는 길이 1.5~2.5cm로서 털과 액을 분비하는 선점이 있다.
포와 작은포에도 털이 나는데, 포는 씨방보다 길거나 같다.
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1.5~2cm로 털이 나며 가운데까지 깊게 갈라진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고 씨방은 긴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를 먹고 나무는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기도 한다.
한국 중부 이북(경기·강원·평남·함남·함북)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꽃대길이가 잎자루보다 짧은 것은 괴불나무(Lonicera maackii MAX )라 하고,
꽃대 길이가 1.5∼3cm이고 굵은 것을 산괴불(var. crassipes),
잎 표면에 잔털이 나고 뒷면 맥 위에 융털이 나는 것을 털산괴불(for. villosa),
잎이 넓은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밑이 둥근(원저) 것을 넓은잎산괴불(var. latifolia),
잎에 긴 털이 나고 꽃자루 길이가 2∼3cm인 것을 절초나무(var. longipes)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