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게실3184

가을 야생화ㅡ동래엉컹퀴 외 가을 야생화ㅡ동래엉컹퀴 외(엄광산 가야공원에서ㅡ모모수계)콜레우스취나물쑥부쟁이동래엉겅퀴배초향(방아)와송오늘의 명언길이 가깝다고 해도 가지 않으면 도달하지 못하며,일이 작다고 해도 행하지 않으면 성취되지 않는다. ㅡ 2024. 10. 3.
박각시가 좋아하는ㅡ물봉선화 박각시가 좋아하는ㅡ물봉선화(대천천 계곡에서ㅡ모모수계)박각시 물봉선화(야봉선)봉선화과 한해살이풀로 물봉선·물봉숭아·털물봉숭이라고도 한다.우리나라에 나는 전형적인 자생식물이다. 진한 분홍색 통꽃을 보면이제 막 화장을 배우는 여인의 작은 입술처럼 아름답다.봉선화 하면 우리 자생화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봉선화, 코스모스,맨드라미와 같이 외국이 원산으로 이 땅에 들어와 사는 초화류 들이지만물봉선은 봉선화와는 같은 집안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 나는 전형적인 자생식물이다.8~9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가지 위쪽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물봉선은 자라는 곳의 환경이나 해발에 따라 계통들이 다르게 분포한다.가장 흔한 것이 일반물봉선인 분홍색 꽃인데 주로 평지의 습지나 물가에 나며,해발 600m 이.. 2024. 10. 1.
가을의 야생화ㅡ싸리꽃,부용 외 가을의 야생화ㅡ싸리꽃,부용 외(수목원에서ㅡ모모수계)개미취쑥부쟁이구절초납작보리사초다투라 부용가을참새오늘의 명언세월은 피부를 주름지게 하지만 열정을 포기하는 것은 영혼을 주름지게 한다. ㅡ사무엘 울만> 2024. 9. 27.
진득찰 진득찰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분포 : 한국(중부 이남) · 일본 · 중국 (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서식 : 산과 들의 길가 (크기 : 높이 40~100cm) 진득찰은 산과 들의 길가에서 양지바른 반그늘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40~100㎝ 내외이다.줄기는 가늘고 곧게 서서 가지를 쳐가면서 자란다.잎은 마주나고 길이가 5~13㎝, 폭이 3.5~11㎝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양면에 짧은 복모(누운 털)가 있으며 난상 삼각형이다. 뒷면에는 3개의 굵은 잎맥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5mm 안팎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꽃줄기는 길이 1~3㎝로 짧은 털이 있다.꽃받침은 길쭉한 주걱모양으.. 2024.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