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게실3187

별을 닮은 붉은꽃ㅡ새깃유홍초 별을 닮은 붉은꽃ㅡ새깃유홍초(도심속에서ㅡ모모수계)새깃유홍초유홍초메꽃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로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한자 이름인 ‘留紅草(유홍초)’에서 유래했으며, ‘누홍초(縷紅草)’라고도 한다.7~8월에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잎이 갈라지지 않고꽃줄기 끝에 3~5개의 꽃이 달리는 것을 둥근잎유홍초라고 하고,잎이 새깃처럼 갈라지는 것은 새깃유홍초라고 한다.깊게 갈라진 진한 녹색의 잎들 사이에서 주홍색·분홍색또는 흰색의 별처럼 생긴 꽃이 핀다. 덩굴은 왼쪽으로 감기며,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빗살같이 갈라진다.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끝에 꽃이 달린다. 1920년대에 한국에 유입되어 관상용이나 약재용으로 재배하고 있다.변비, 치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다.꽃말 : 영원히 .. 2024. 8. 6.
꽃이 따로피는ㅡ꽃무릇/백양꽃 꽃이 따로피는ㅡ꽃무릇/백양꽃(도심속에서ㅡ모모수계)노란 꽃무릇(석산) 노란 백양꽃꽃무릇(석산)남부 지방의 절에서 심는 여러해살이풀로 "석산"이라고도 한다.붉은 꽃무릇보다 일찍피며 요즘 일본에서는 노란 꽃무릇이 인기랍니다.수선화과 Lycoris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알뿌리식물로우리가 흔히 아는 상사화랑 한 집안 식물이다.그래서 통상 상사화라고도 부르지만 그것은 속을 대표하는 명칭이기 때문에굳이 전체를 통칭하여 부른다면 상사화류 라고 불러야 맞다.석산은 상사화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우선 석산과 상사화에는 무릇이라는 공통된 별칭이 들어 있다.석산은 가을가재무릇, 상사화는 개가재무릇이라고 한다.두 꽃을 언뜻 보면 아주 비슷한데, 특히 잎과 꽃이 함께 달리지 않는 것이 똑같다.그러나 꽃 색깔이 달라서 석산은.. 2024. 8. 6.
피마자 피마자 2024. 8. 6.
정겨운 이미지ㅡ분꽃/봉선화 외 정겨운 이미지ㅡ분꽃/봉선화 외(도심속에서ㅡ모모수계) 봉선화맥문동분꽃( 자화분)저녁밥 지을 시간을 알려주었던 분꽃분꽃은 멘델의 유전법칙 중 우열의 법칙에 맞지 않는중간유전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유전법칙 설명 자료로 이용한다.남아메리카 원산으로 분꽃은 꽃이 피는 기간이 길고 향이 좋아화단이나 길가에 많이 심는다. 꽃은 6~10월에 저녁때부터아침까지 어두울 때 피고 작은 나팔꽃 모양으로 가지 끝에서 핀다.분꽃이란 배젖이 밀가루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분꽃은 통꽃이 아니며 통모양으로 종처럼 생긴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꽃잎이 아니라 꽃받침이다. 이 꽃받침은 아래에서는 붙어있고위에서는 열려있다. 분꽃에는 진정한 꽃잎이 없다. 꽃받침 모양으로되어있는 5개는 꽃송이 주변에 컵모양으로 만들어진 녹색의 포다.따라서 ..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