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실3187 수생식물ㅡ부레옥잠 물양귀비 외 수생식물ㅡ부레옥잠 물양귀비 외(도심속에서ㅡ모모수계)물양귀비어리연연꽃부레옥잠부레옥잠은 수생식물로 물옥잠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세계적으로 약 7종이 주로 열대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한다.수질정화용 식물로 일반에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이 바로 부레옥잠이다.꽃말처럼 물이 있는 공간에서는 외모도 기능도 승리자가 아닌가 싶다.물옥잠속(Monochoria)에 비해 부엽성으로 잎자루에 부레가 있어물 위에 뜨며, 화피의 밑부분이 통 모양이므로 다르다.북아메리카, 일본, 중국 등지에 귀화식물로 정착하였다.중금속 제거 기능이 알려져 있어 부레옥잠을 이용한인공습지, 인공섬 등을 조성하기도 한다.꽃말 : 승리 어리연황금 어리연은 호주가 원산지로 쌍떡잎식물 용담목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입니다.연못에 피는 작은 연꽃으로,.. 2024. 7. 26. 정겨운 꽃ㅡ목화/닥풀/메밀꽃 정겨운 꽃ㅡ목화/닥풀/메밀꽃(도심근린공원에서ㅡ모모수계)목화꽃목화씨방닥풀메밀목화( 木花)아욱목 아욱과 한해살이풀. 면화 또는 미영, 미면이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열대지방이다.보통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관목으로 재배되지만, 열대지역에서는 다년생 교목으로 자란다.식물체는 흰색 꽃을 피우는데, 이 꽃은 불그스레한 색으로 변한다.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작물 중의 하나인 목화는 비교적 값싼 면제품을 만들며,생산량이 매우 많고 경제적인 직물이다. 한국에는 고려시대 문익점이 원나라에서씨앗을 숨겨온 다음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꽃말 : 어머니의 사랑 닥풀( 황추규)황촉규·당황·촉규·촉귀라고도 한다. 닥풀이라는 이름은닥나무로 한지를 만들 때 이 식물을 풀감으로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8~9월에 엷은 황색.. 2024. 7. 25. 바위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 중국 동북부 (학명 :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서식 : 산지의 바위 틈 (크기 : 높이 1m 내외) 바위말발도리는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1m 내외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있다.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1.5∼7cm, 나비 8∼40mm이다.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의 것은 점차 떨어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 봄에 피고 새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2cm 정도이다.꽃받침통은 길이 2mm 정도로서 털이 있고, 꽃잎은 5개로 흰색이며 겉에 털이 있다.물참대와 같이 꽃잎이 수평하게 퍼지지 않고 다소 깔때기.. 2024. 7. 25.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중부 이남)·일본 (학명 : Deutzia coreana)서식 : 산지의 바위틈 (크기 : 높이 약 1 m) 매화말발도리는 댕강목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나무껍질은 잿빛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갈라진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가 난다. 길이 4∼6cm이다. 꽃은 5월에 피고 흰색이며 묵은가지에 1∼3개씩 달리는데, 꽃 밑에 1∼2개의 잎이 달리기도 한다.꽃받침통은 씨방과 붙어 있고 작은꽃자루와 더불어 성모가 빽빽이 난다.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10개이며.. 2024. 7. 25.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7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