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게실3187

만첩공조팝나무 만첩공조팝나무 2024. 6. 21.
매화조팝나무 매화조팝나무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분포 : 한국·일본 (학명 :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서식 : 낮은 산기슭 양지, 밭둑 (크기 : 높이 1.5~2 m) 매화조팝나무(만첩조팝)는 장미조팝, 겹조팝나무, 꽃조팝나무 등으로 불린다.수고는 높이 1.5~2 m정도이다.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며 나중에는 암갈색으로 변한다.잎은 달걀형 또는 바소꼴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가 후에는 윗면에만 털이 있거나 없어진다.아랫부분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하게 갈라진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다.길이는 1.5~3cm이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산형꽃차례로 3~6개가 달려 핀다. 꽃자루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 털이 없거나 양옆에는 털이 있다.만첩조팝나.. 2024. 6. 21.
약효가 뛰어난 야생화ㅡ엉겅퀴 약효가 뛰어난 야생화ㅡ엉겅퀴(금정산 자락에서ㅡ모모수계)엉겅퀴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엉겅퀴류도 대가족이다. 지구상에 약 200종이나 사는데,이년생인 것과 영년생인 것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꽤 많은 종들이 자생하고 있는데,엉겅퀴와 같은 학렬에 속하는 큰엉겅퀴, 도깨비엉겅퀴, 동래엉겅퀴,바늘엉겅퀴, 버들잎엉겅퀴, 흰잎엉겅퀴, 고려엉겅퀴, 물엉겅퀴가 있고,자식뻘로는 좁은잎엉겅퀴, 가시엉겅퀴, 흰가시엉겅퀴 등이 있다.꽃은 6~8월에 피는 두상화는 자주색 또는 적색이다.어린순을 식용한다.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국을 끓여 먹는다. 데쳐서 무쳐 먹기도 하고 튀김으로도 먹는다.줄기는 장에 찍어 먹거나 장아찌로 먹는다.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구토, 근계, 근골동통, 금창, 난청, 대하증 .. 2024. 6. 21.
화려하고 기품이 있는ㅡ능소화 화려하고 기품이 있는ㅡ능소화(동래산성마을에서ㅡ모모수계)능소화미국능소화소화(금등화, 金藤花)낙엽활엽 덩굴식물로 중국 원산이다.여름날의 아쉬움을 달래주는 능소화가 우리의 눈길을 끈다.담장을 누비며 주황색 나팔모양의 꽃이 얼굴을 내민다.꽃은 6~8월 개화하며 새로 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지름 6-7cm,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으로 꽃받침은 종 모양,화관은 깔때기 모양, 위쪽이 5갈래로 갈라져 화려하면서도 기품이있는 꽃한번 피기 시작하면 거의 초가을까지 피고 지고를 이어가고질때는 통채로 떨어져 처녀꽃이라고도 부른다.근래 들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능소화 외에 최근에 들여온미국능소화를 주로 심고 있다. 미국능소화는 꽃의 크기가 작고,거의 위로 향하여 피며 더 붉은색을 띠는 것이 보통 능소화와의 차이.. 2024.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