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북좌익의 강점기를 종식해야
현재 대한민국은 거대한 선택에 놓여있다.
71년전(6.25) 북괴로부터 침략으로 개전 3일만에 서울이 점령당하고,
한달여만에 국토의 80%를 점령당한 상태가 재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상황은 '한강의 기적'이란 세계가 놀란 압축혁명 이후
민주화의 이름으로 불과 30여년만에 나타났기에 세계에 던진 충격은 적지 않다.
민주주의는 20세기의 트렌드였다. 20세기는 자유민주주의, 파시즘, 공산주의 간의 투쟁이었다.
영국, 미국, 프랑스가 자유민주주의의 선봉이었고, 후발국인 독일, 이탈리아, 일본은 파시즘이 득세했다.
보다 후진국인 러시아는 중국, 쿠바와 함께 공산국가를 대변했다.
여기서 탈식민지국이자 아시아의 변방인 한반도의 운명은 가혹했다.
공산주의가 무서운 것은 암흑과 퇴행이란 숙명을 안긴 아시아의 전제정과 유사하기 때문이었다.
2,300년전 진시황(중국)이 보여주는 토지국유제, 국가관료제, 절대군주제는
분서갱유와 만리장성에서 보여주듯 폭정과 고립(쇄국), 그리고 천년의 암흑과 빈곤이었다.
필자는 독일(서독)유학중 공산주의의 퇴행을 확인할 기회가 있었다.
1989년 여름 대규모 주민탈출로 촉발된 동독의 붕괴는 당시 동유럽 선진국인
동독이 실은 저발전과 빈곤의 국가였던 것을 만천하에 알리게 되었었다.
패전후 라인강의 기적으로 알려진 부강한 서독과 달리 동독은 도시는 낡고
인프라는 뒤쳐졌으며 심지어 빵과 같은 일용품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낙후된 것이었다.
그러나 동독은 유럽의 일원이었다.
기독교가 존속했으며 군사도발은 자제되었고,
인적(고향방문과 유학생 파견) 및 방송교류를 할 정도였다.
심지어 인근국가들로 여름휴가를 보냈다.
그러나 북괴는 달랐다.
스탈린사후 1957년 이후 소위 김일성왕조체제로 스탈린체제가 확립되었다.
분단 이후 3만회에 이르는 무력도발을 자행한 것이다.
인적교류는 철저히 차단당하고 심지어 사회주의국가인 중국으로 탈출하는 주민을
총격사살하는 만행을 자행하며 존속하고 있는 것이다.
노동당의 주민통제는 비밀통제기구를 중심한 동유럽수준이 아니라 고대 중국에서 자행된 전제적 통제이다.
한국의 민주화가 결국 공산주의와 친북으로 기우는 것은 역사적 아이러니이다.
한때 한국은 반공과 경제발전을 함께한 아시아의 모범국가였다.
당시 한국은 위대한 지도자들이 잇달아 출현하며 남북대치에도 불구하고
불과 30년만에 산업화에 성공하여 칭송이 자자했다.
하지만 민주화는 모든 것을 바꾸었다. 리더십의 총체적 실종속에 한국은 혼미를 거듭했다.
민주화 10년만에 IMF와 정권교체를 겪고,
친북(사회주의) 정권이 연임하며 자유민주주의 토대를 흔든 것이다.
무서운 것은 역사와 문화이다.
앞에서 보듯 전제정의 오랜 전통은 공산주의와 역사적 친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봉건주의적 전통이 강한 독일과 일본에선 공산주의는 결코 용납될 수 없었다.
하지만 한국은 지난 세대 위대한 시대와 지도자들이 있었지만 정신적 암흑을 걷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전제정은 집단지성을 퇴화시키고 게으름과 거짓을 양산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2500년전 그리스의 해부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의 저술에서 보여주듯
제도가 갖는 후유증은 결코 부정될 수 없다.
이미 남한의 60%는 친사회주의자로 분류되는 현실이다.
이들에게 노블레스 오블리지는 환상에 불과하다.
식민지와 2차대전, 그리고 6.25 를 통해 각성된 위대한 한국의 산업화 세대의
퇴장과 함께 한국의 민주화는 혼미하게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내년 3월로 예정된 대선이슈가 언론에서 도배되고 있다.
수많은 여야후보가 출현하고 있으나 이들에게서 한국사회와 민주주의 본질에 관한 관심은 찾아보기 힘들다.
정치인과 정상배의 기준이 전자가 책임감과 비전이라면,
후자는 표와 권력이 관심사라는 말이 있는 것 처럼 한국의 국가리더십은 여전히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종북좌익에 강점된 현상을 타파할 진정한 지도자는 누구인가.
글 / 하봉규 교수 / 부경대
나훈아 2020 대한민국 어게인 ‘테스형!’
'☞가로등 > 자유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징벌법’, 파시즘으로 가는 길 (0) | 2021.08.06 |
---|---|
항용유회(航龍流悔) (0) | 2021.08.06 |
평생 한번 볼까 말까한 대나무 열매 보시고 행운 받으세요 (0) | 2021.08.04 |
‘비상식’ 경쟁하는 듯한 與 대선주자들 부동산 공약 (0) | 2021.08.04 |
삽시간(霎時間)과 순식간(瞬息間)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