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유래(由來)]
봄은 24절기(節氣)의 하나인 입춘(立春)으로 시작되는데 눈, 얼음, 서리가 녹아 내려 빗물이 된다는 우수(雨水)와
겨울잠 자던 동물들이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으로 이어지면서 봄기운은 점점 무르익게 된다.
24절기는 태양이 움직이는 궤도인 황도(黃道)상의 위치에 따라 춘분(春分)점을 기점으로 하여 1년 주기인 360도를 15도 간격으로 나눈 24개의 점에 해당하는 절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음력이 아닌 양력 기준이며 농사(農事)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봄이 되어 개나리, 수선화 등 봄꽃이 만발했는데도 아직 추위가 여전 할 때 우리는 ‘봄이 왔는데 봄 같지 않다’고 말하고
이를 문자 그대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며 어떤 일을 할 시기(時機)는 왔는데 상황은 별로 좋지 않을 때 이 고사성어(故事成語)를 흔히 사용한다.
이 말은 중국 당나라 때 ‘동방규(東方虬)’라는 시인(詩人)이 쓴 시(詩) ‘소군원(昭君怨)’의 구절(句節)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오랑캐 땅에는 꽃도 풀도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 않구나,
자연의대완(自然衣帶緩) 비시위요신(非是爲腰身)/저절로 허리띠가 느슨해지니 몸매를 가꿔서가 아니랍니다.“
- 이는 지독한 고국 생각, 고국의 임금 생각에 살이 빠지고 몸이 수척해짐을 말하는 뜻이렸다.
3수(隨)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 시의 주인공에 얽힌 슬픈 사연이 있다. 이 시의 제목은 ‘소군(昭君)의 원망(怨望)’이라는 뜻인데 ‘소군은 왕소군(王昭君)이라는 여인을 의미 한다.
그녀는 전한(前漢) 시대(기원전 1세기) 마지막 황제인 원제(元帝)의 궁녀로서 중국 고대의 4대 미인 중 한 사람으로 뽑히는 절세 미녀였다.
왕소군은 북방 오랑캐 흉노와의 화친의 조건으로 흉노의 왕에게 원제의 딸인 공주가 보내지게 되었는데,
공주 대신 그녀가 강제로 보내져서 낯선 이국(異國)땅에서 왕녀(王女)로 살다 생(生)을 마감하였다.
이 고사성어가 유래하게 된 동방규의 시(詩)는 이국 오랑캐 땅에서 고향을 그리며 외롭게 살아가야 했던 그녀의 애절한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얼굴만큼이나 착한 마음씨를 가진 왕소군 덕분에 두 나라는 오랫동안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고 또한 한(漢)나라의 의복과 농경문화가 흉노에게 전해지기도 했다.
중국의 초절정 미인 세 사람(西施 서시, 貂蟬 초선, 楊貴妃 양귀비)은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 불리웠으나
왕소군은 흉노에 시집감으로써 나라에 오랫동안 평화를 가져왔다 해서 이들 세 미인과는 달리 '애국지색(愛國之色)'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왕소군이 어찌나 미인이었는지 흉노 땅으로 가는 길에 말에서 비파(琵琶)를 들고 연주를 하였는데 지나가던 기러기가 비파 소리에 맞추어 부르는
왕소군의 노래 소리와 그녀의 아름다움에 정신을 잃고 날갯짓을 잊는 바람에 땅으로 떨어졌다는 도저히 믿기 힘든 이야기에서 낙안(落雁, 기러기가 떨어짐)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알려진바에 의하면, 흉노 왕비가 된 왕소군은 첫 남편 '호한사선우'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하나 낳았으며 호한사선우가 죽자,
횽노의 관습대로 첫아들 '복주누약제선우'의 처가 되어 딸 하나를 낳았다한다. 하지만 미인박명이라 했던가 3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하직한 비운의 여인이었다.
이태백(李太白)이 남긴 시(詩) 2편을 실어본다.
"소군원(昭君怨)“
昭君拂玉鞍 왕소군이 옥안장을 떨치며
上馬啼紅頰 말 위에 오르니 붉은 두 뺨에 흐르는 눈물
今日漢宮人 오늘은 한나라의 궁인이지만
明朝胡地妾 내일이면 오랑캐의 첩이 되는구나
漢家秦地月 한나라 시절 옛 진나라 땅에 떠 있던 달은
流影照明妃 그림자를 내려 명비를 비추네
一上玉關道 한번 옥관도에 올라
天涯去不歸 멀리 떠나간 뒤 다시 돌아오지 않네
漢月還從東海出 한나라 달은 돌아와 다시 동해에 떠오르건만
明妃西嫁無來日 명비는 서쪽으로 시집가 돌아올 줄 모르네
燕支長寒雪作花 연지산은 늘 추워 눈꽃을 만들고
蛾眉憔悴沒胡沙 미인은 초췌해져 오랑캐 모래에 사라지도다
生乏黃金枉畵工 살아선 황금이 없어 초상화를 잘못 그리게 하더니
死遺靑塚使人嗟 죽어선 청총을 남겨 사람으로 하여금 탄식케 하네
註: 청총((靑塚)): 왕소군이 죽은 뒤 흉노 땅에 묻혔는데, 그 무덤의 풀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아 청총(靑塚)이라 부른다고 한다.
느닷없이 운명에 희롱 당한 미색 짙은 한 여인이 낯선 이국의 오랑캐 나라 왕녀로 시집보내져 평생 고향땅을 한 번도 밟지 못하고
고국과 고국의 임금을 그리워하다 지독한 향수병에 걸려 외롭게 살다가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는 한 여인(女人)의 이야기가 애절하게 느껴지게까지 한다.
'☞다반사 > 感動.野談.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도둑과 부인.... (0) | 2024.04.22 |
---|---|
이조 참판 고유(高裕)와 정부인(貞夫人) 박씨 (0) | 2024.02.26 |
삼월이 (0) | 2024.01.10 |
삼월이 (0) | 2024.01.09 |
노응대감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