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반사474

공부 복 【공부 복 】 마음 공부하는 데도 복이 있습니다. 공부 복이 있어요. 공부 복이 있는 사람은 마음 닦을 수 있는 여건이 잘 갖춰져 스승님도 잘 찾고, 주위에 밝은 도반 인연도 잘 짓고, 공부할 때 주변 인연이 막 공부하도록 받쳐 주고 그래요. 그렇지만 공부 복이 없는 사람은 아무리 마음이 있어 마음 공부 하고 싶어도 여건이 안 받쳐 주니 그만큼 공부하기는 어려운 법입니다. 여건 탓하지 않고 내 마음 밝히면 된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좀 된 사람들이 하는 말이지요. 공부 복도 스스로 지어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왜 그러잖아요. 공부하기 어려울 때는 공부 복이라도 지어놓으라고 말이지요. 그럼 공부 복은 어떻게 짓겠어요? 복이라는 것은 베풀었을 때 오는 것입니다. 그러니 공부 복도 마찬가지예요. 공부 .. 2022. 3. 3.
길흉화복의 판단을 버린 사람 【길흉화복의 판단을 버린 사람 】 점을 치거나 해몽, 관상 보는 일을 버리세요 공부하는 수행자는 잘 되고 못 되었다는 분별이라거나, 좋고 싫다는 분별, 옳다 그르다 라는 분별, 그리고 맞다 틀리다라는 분별부터 쉬어야 한다. 그냥 그냥 굳게 믿고 턱 놓고 살면 다 잘 사는 것이다. 잘 살고 못 살고를 나누어서 잘 사는 쪽을 선택한 그 잘 사는게 아니라 그냥 그 양쪽을 넘어선 잘 사는 것이란 말이다. 길흉화복의 판단을 버린 수행자. 이 얼마나 거침없는 훤한 길인가. 내 앞에 펼쳐지는 그 어떤 경계라도 좋다거나 싫다거나, 잘 되고 있다거나 잘 안 된다거나, 길하다거나 흉하다거나, 화라거나 복이라거나 그 모든 분별들을 그냥 다 놓아 버리고 거침없이, 걸림 없이 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좋고 싫음의 분별이 없으.. 2022. 3. 3.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살아야 할까】 근원적인 실천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가장 올바른 것일까요? 어떤 것이 분명한 것일까요? 어떻게 사는 것이야말로 가장 지혜롭게 사는 것일까요? 과연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일까요? 우리가 생각하는 성공이라는 것은 사실은 그 성공 이면에 실패를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전적으로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은 틀린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너무 미친듯이 사랑에 빠지게 되면 사실은 사랑이라고 하지만 그 이면에 집착과 증오를 항상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행복이라는 것, 성공이라는 것, 사랑이라는 것, 옳다는 것, 이 모든 것은 항상 극단적인 이면을 함께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그것은 근원이 아니라고 하는 거예요. 우리가 생각을 만들어 내는 것.. 2022. 3. 3.
똑같은 양을 베풀어도 【똑같은 양을 베풀어도】 모든 것을 얻게 된다 보살은 평등한 마음으로 자기의 모든 물건을 중생들에게 보시하려고 한다. 보시하고 나서도 아깝다는 생각을 하지 않으며, 좋은 결과를 바라지도 않고, 알아주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천상에 태어나기를 바라지도 않는다. 다만 일체 중생을 구하고 진리의 행을 실천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고자 할 뿐. [화엄경] 똑같은 양을 베풀지라도 그 결과는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 어떤 마음으로 베풀었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하늘과 땅으로 갈라진다. 똑같은 양을 베풀었더라도 베풀고 나서 아깝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좋은 결과를 바라지도 않고, 누가 알아주길 바라지도 않으며, 죽고 나서 천상에 태어나길 바라지도 않는다면 그 베품은 온 우주를 다 덮고도 남을 공덕이 있다. 그러.. 2022.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