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반사474 어떻게 하면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울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울 수 있는가? '이기적 유전자' 라는 책을 써서 세계적인 스터디셀러 작가로 유명해진 리처드 도킨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남을 먼저 배려하고 보호하면 그 남이 결국 내가 될 수 있다.” "서로를 지켜주고 함께 협력하는 것은 내 몸속의 유전자를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약육강식에서 이긴 유전자만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상부상조를 한 '종' 이 더 우수한 형태로 살아남는다는 게 도킨스의 주장이다. 결국 이기심보다는 이타심, 즉 내가 잘살기 위해선 남을 도와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이다. 이 때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울 수 있다. 녹명! ‘사슴 록(鹿)에 울 명(鳴)’ 즉, 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다른 배고픈 사슴들을 부르기 위해 내는 울음소리다. 세상에.. 2022. 5. 2. 노세작 꾀가 많고 남속이는 재주 뛰어난 노참봉 밤길에 열녀상 받은 과부 집에서 한 남정네가 몰래 나가는걸 보는데… 노참봉을 사람들은 노세작이라고 부른다. 자그마한 키에 몸에는 군더더기 살이 없어 나이 오십줄에 들어섰지만 날렵하기가 다람쥐다. 키보다 훨씬 높은 담도 손만 닿으면 훌쩍 뛰어넘는다. 사실 노세작의 장기는 몸뚱이에 있지 않고 머릿속에 있다. 그의 머리에서 쏟아지는 꾀는 나와도 나와도 끝이 없는 화수분이다. 눈은 쏙 들어가고 광대뼈는 톡 튀어나온 깡마른 얼굴이지만 냄새 맡는 데는 삽살개 저리 가라다. 항상 눈을 깔고 다니지만 뒤통수에도 눈이 달렸고, 십리 밖 여인네 옷 벗는 소리도 들린다는 토끼귀를 가졌다. 문제는 그 빼어난 몸과 마음의 재주를 나쁜 쪽으로만 써먹는 데 있다. 세작(細作)이라는 별.. 2022. 5. 1. 박 서방, 황 첨지 그리고 사또 몸이 부서져라 일하는 박서방, 쟁기날 사려고 대장간으로… 돈통끼고 앉아 평상에서 약주마시는 팔자 좋은 황첨지가 부럽기만 한데… 보리 한골을 베고 난 박 서방은 허리가 두동강이 난듯 선뜻 일어설 수가 없다. 밭둑의 함지박에서 호리병을 꺼내 막걸리 한사발을 단숨에 들이켜자 비 오듯 흘러내리는 땀이 사발에 떨어져 막걸리 반, 땀 반이다. 보리밭 한마지기를 베어 단으로 묶어 산비탈에 널어놓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별이 총총하다. 납덩어리처럼 무거운 눈꺼풀을 밀어 올리며 박 서방은 새벽같이 일어나 소를 끌고 쟁기를 매고 또다시 들로 나가야 한다. 이랴~, 보리밭을 갈아엎고 물꼬를 터 하루빨리 모를 심어야 한다. 모내기를 하고 나면 박 서방의 몸은 녹초가 되지만 또다시 새벽같이 일어나 최 서방네 모를 심으러 간.. 2022. 5. 1. 매화와 퇴계선생 매화와 퇴계선생 이황(李滉) 퇴계(退溪)선생은 매화(梅花)를 끔직히도 사랑했다.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가 1백수가 넘는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선생이었던 지라 한동안은 두향의 애간장을 녹였었다.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 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가야금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두 사람의 깊은 사랑은 그러나 겨우 9.. 2022. 4. 26.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119 다음